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태아 초음파 및 출산 분만 용어 설명

반응형

출산, 분만 시 자주 접하는 어려운 초음파, 분만 용어 설명

아기 임신과 출산으로 병원에 방문하면서 접하게 되는 용어들이 있었는데요. 산모가 꼭 알아야 할 중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의사 선생님이 직접 쉬운 용어로 설명해 주시지만 그 밖에도 어려운 약자나 줄임말, 의학용어로 적혀있는 부분이 많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그런 부분이 어떤 걸 의미하는지 궁금한데 그때마다 의사 선생님이나 간호사 선생님께 다 일일이 물어보긴 민망하더라고요. 그래서 초음파, 분만 시 많이 쓰이는 의학용어를 제가 찾은 자료를 바탕으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아기 초음파사진에 적혀있는 각종 의학용어들

 

태아 초음파시 사용되는 용어 정리

임신을 하면서 초기에는 격주로 한번, 중기, 후기로 가면 한 달에 한번 아기 초음파를 했습니다. 30주가 넘어가면 아기 영상 초음파까지 하게 되는데요. 그럴 때마다 초음파 동영상, 사진 자료를 받아오면 옆에 적혀있는 의학 약자 용어들이 많아요. 선생님이 설명해 주실 때 한번 듣긴 했지만 제대로 기억나지 않아 다시 봐도 약자가 어려워 의미를 알기 어렵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찾아 정리해 본 용어를 공유해 보겠습니다.

 

- FL : 태아의 넓적 다리 길이를 잰 치수

- APTD : 태아의 배의 두께를 잰 치수

- TTD : 태아의 옆구리 폭을 측정한 수치

- HC : 태아의 머리 둘레 수치

- AC : 태아의 복부둘레

- CRL : 태아의 머리부터 엉덩이까지 길이

- GA : 추정하는 임신 주 수 , W는 주수, D는 날짜(오차 2주)

- EDD : GA를 통해 산출한 출산 예정일

- AFI 혹은 AF : 양수 지표

- HR : 태아의 심장박동수

- FW 또는 EFW : 태아의 몸무게

- GS :  아기집 크기(태낭) 

- YS : 난황 크기

- FHR : 태아의 심박수

- CL : 자궁경부길이

- NT : 태아 목덜미 투명대

- NB : 태아 코뼈

- BPD : 태아 머리 직경

 

출산(분만) 시 사용되는 용어 정리

출산 후에 신생아실에 가보면 아기바구니마다 아기 이름, 엄마 이름과 함께 어떤 출산이 이루어졌는지 의학 약자 용어로 적혀있는 부분들이 있어요. 저는 이걸 보면서 궁금해서 직접 찾아보곤 했는데요? 제가 찾은 용어들을 아래 요약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 N/D : normal delivery의 약자로 자연분만을 의미

- PSD : 조기 자연분만(임신 37주 미만에서 질식분만)

- NFSD 또는 NSVD : 정상 만기질식분만

- NFVED : 정상만기흡입분(흡입기를 사용한 분만)

- CDMR : 의학적인 사유가 아닌, 환자가 원해서 제왕절개를 하는 경우(=wanted C/S)

- V-bac : 첫째 제왕 후 둘째 자연분만

 

알고 보니 어려운 뜻이 아닌 단어가 많았는데요. 처음부터 한글로 적혀있으면 엄마아빠가 영상이나 사진 초음파 자료들을 이해하는데 훨씬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혼자 해봅니다. 위에 정리한 자료로 우리 아기가 건강하게 태어나기까지 엄마아빠들이 우리 아기를 이해하고 엄마가 공부하는데 작은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올려봅니다. 

반응형